오늘하루도 즐거운 시간 보내시고 늘 성공투자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은 ADR, 등락비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등락비율(ADR, Advance Decline Ratio)이란?
특정기간동안 상승종목 누계를 하락종목 누계로 나눈 백분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종합주가지수는 가격의 변동을 나타내고 등락주선의 변동은 등락종목수의 변동을 나타냅니다. 등락비율은 이 두 가지를 대비하게 되면서 시세가 어느정도 강력한 것인가를 알고 하는것입니다. 등락주선의 결점은 시세의 상승국면에서는 특히 투자대상이 집중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수는 시가총액이 큰 종목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서 왜곡되기가 쉽습니다.
등락비율은 대표적인 기술적 분석 지표이며 증권시장 내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의 크기를 가늠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주로 20거래일 동안의 상승 종목수를 하락 종목수로 나뉜 값을 사용합니다.
작성법
ADR = 상승 종목 / 하락 종목 x 100
7일선 ADR = 최근 7일 ADR의 합 / 7
등락비율의 해석
등락비율이100%라고 했을 때 사승 종목 수가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뜻이며, 110%일 경우에는 상승종목이 10% 더 많다는 뜻을 보고 있습니다. 등락비율의 상승은 시장인기의 확대를 뜻하고 등락비율의 하락은 시장인기의 저하를 나타내는 것을 뜻합니다.
- 등락비율이 120% 이상일 경우엔 경계를 요하는 시점이고, 시세는 그 후에 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등락비율이 70% 이하일 경우에는 시세는 바닥권을 의미하고, 시장은 그 후 상승으로 전환하게 됩니다.
- 등락비율의 피크는 주가의 피크보다 선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등락주선은 시장의 내부세력을 측정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분석수단으로 주가가 전체적으로 상승추세에 있는가 아니면 하락추세게 있는가를 판단하는데 있어 다른 어떤 지표보다 먼저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전일의 종가에 비해서 오른 종목수에서 내린 종목수를 뺀 것을 매일 누계하여 그것을 선으로 이어서 작성한 것입니다.
이 등락주선과 주가와는 다음의 관계가 있습니다.
첫째, 지수가 상승하고 있는 중이라고 등락주선이 하락하고 있다면 시장은 곧 하락세로 전환하게 됩니다.
둘째, 지수가 하락하고 있을지라도 등락주선이 상승하고 있다면 시장은 곧 상승세로 전환하게 됩니다. 그러나 등락주선으로 상승 또는 하락의 정확한 타이밍을 맞출수는 없고 단지 가까운 장래의 상승 또는 하락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셋쨰, 지수의 수치는 확률적인 관점이며, 시장 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해외선물보조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옵션 보조지표] 파라볼릭(Parabolic SAR) (0) | 2023.03.21 |
---|---|
[선물옵션 보조지표] 방향운동지수 DMI 보조지표 알아보기 (0) | 2023.03.21 |
[선물옵션 보조지표] VR 거래량비율 알아보기 (0) | 2023.03.21 |
이동평균선으로만 수익내는 방법 (0) | 2023.03.21 |
[선물옵션 보조지표] 투자심리선(Psychological Line) 알아보기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