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7)
[선물옵션 보조지표] 피보나치(Fibonacci) 되돌림 현상 알아보기 오늘 하루도 즐거운 시간 보내시고 늘 성공투자와 함께 하는 삶을 살아가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은 피보나치의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피보나치(Fibonacci)란? 피보나치는 약 800년 전의 이탈리아 수학자로 이름은 레오나르도(Leonardo Fibonacci)입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레오나르도 다빈치하고 이름이 엇비슷한데요. 연기력의 천재는 디카프리오고, 다방면의 천재는 당연히 다빈치일테고, 수학방면에서는 피보나치입니다. 피보나치는 이탈리아의 수학자로 중세유럽에 아라비아 숫자체계를 소개했으며, 고대 피라미드를 연구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피보나치 수열이라고 부르는 숫자들의 배열을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피보나치 수열의 원리 ​ 피보나치 수는 1, 1, 2, 3, 5, 8, 13, 21, ..
[선물옵션 보조지표] 일목균형표 개념(전환선, 기준선, 후행스팬, 선행스팬) 오늘 하루도 즐거운 시간 보내시고 늘 성공투자하는 삶과 함께 살아가시길 기원하겠습니다. ​ 일목균형표(一目均衡表)란 일목균형표는 너무나도 많이 쓰이고 유용하게 쓰이는 보조지표중 한가지입니다. 일반적으로 힘의 균형을 파악하는데 요긴하게 쓰이고 있으며, 큰 흐름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더 확률적으로 높히 보고 있습니다. 일목균형표는 일본에서 개발된 지표로 주가의 움직임을 5개로 의미있는 선을 이용해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으로 시간 개념이 포함된 지표를 말합니다. 일목산인(이치모쿠 산징)이라는 필명을 가진 일본의 주가차트 전문가 호소다 고이치씨가 독자개발한 일목균형표는 서양의 엘리어트 파동 등이 과거의 가격과 트렌드를 중시하는데 비해 일목균형표는 시간을 주체로 하고 가격은 2차적인 개념에 불과하다는데 기초를 둔 ..
[선물옵션 보조지표] 이브앤아담 차트 패턴 알아보기 오늘 하루도 즐거운 시간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 ​ 아담과 이브에 대한 사진입니다. 보조지표중에서도 여러가지 차트가 있지만 오늘은 특이한 이름을 가진 아담패턴과 이브패턴의 대한 보조지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아담패턴(Adam patten)이란 기술적 분석에서 주가가 바닥에서 반등할 때 급격하면서 짧은 돌출(Spike)와 함께 V자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 이브패턴(Eve pattern)은 가격이 바닥에서 반등할 때 기간 조정을 거치면서 폭이 넓은 운형, U자형으로 반등일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브패턴 혹은 아담패턴 형태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중패턴(Double Bottom)이라 불리는 더블탑을 형성할 때는 아담패턴과 이브패턴이 혼합되어 나오는(아담패턴+이브패턴) 경..
[선물옵션 보조지표] 모멘텀 전략 Momentum 이번시간에는 모멘텀전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모멘텀 전략이란? ​ 자산의 과거 성과가 앞으로도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된다는 가정에 기반한 전략입니다. 즉, 성과가 좋았던 자산은 한동안 좋은 성과가 유지될 것이고, 성과가 좋지 않았다면 앞으로도 나쁠 것이라는 뜻입니다. 지난 12개월 동안의 주가 수익률이 가장 좋았던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대표적인 모멘텀 투자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모멘텀 전략의 역사 ​ 아이디어의 시작 모멘텀 아이디어의 시작은 뉴튼의 운동 제 1법칙인 관성의 법칙에서 시작됩니다. 관성의 법칙이란 모든 운동체는 현재 향하는 방향으로 운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힘이 있다는 것입니다. 모멘텀 관성이 존재한다라는 말과 같은 뜻입니다. 모멘텀에 대한 언급은 1838년 David Ri..
[선물옵션 보조지표] 상품채널지수 CCI(Commodity Channel Index) 알아보기 오늘 하루도 즐거운 시간 보내시고 늘 성공투자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오늘은 CCI에 대해서 알아볼텐데요. CCI란 (Commodity Channel Index)는 투자 수단이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에 도달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모멘텀 기반 오실레이터입니다. 1980년 도널드 램버트(Donald Lambert)가 상품가격의 계절성이나 주기성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한 이 기술지표는 가격 추세 방향과 강도를 평가해 거래자가 거래를 시작할지 또는 종료할지, 거래를 자제할지 또는 기존포지션에 추가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표는 특정 방식으로 작동을 할 때 거래 신호 포착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상품채널지수(CCI)는 무엇을 알려주나요? ​ CCI는 주로 새로운 추세를 파악하고, ..
[선물옵션 보조지표] 스토캐스틱(Stochastic) 알아보기 오늘 하루도 즐거운 시간 되시고 늘 성공투자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오늘 알아볼 보조지표는 스토캐스틱(Stochastic)인데요. ​ 스토캐스틱은 흔히 모멘텀지표라고도 흔히 이야기를 합니다. 실제 사용을 해보면 추세지표로도 활용하면서 박스지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실전 선물옵션 보조지표 매매시에 가장 참고하기 쉽고 잘맞는 지표 중 몇 안되는 보조지표들 중 하나로 꼽을 수 있겠습니다. 스토캐스틱이란 1950년대 개발되어 알려진 지표 William Dunnigun이 개발하고 George Lane이 널리 보급하였습니다. 과거 고승덕변호사가 증권가전문가로 활동 당시 "마법의 지표"라고 표현을 내세울 정도로 신뢰성이 높은 지표이며 스토캐스틱과 함께 선물옵션 보조지표의 시작의 상황을 본다면 대략적인 추세를 알아볼 ..
[선물옵션 보조지표] 파라볼릭(Parabolic SAR) 오늘 하루도 즐거운 시간 되시고 늘 성공투자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오늘은 파라볼릭(Parabolic SA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라볼릭 지표란? 웰즈 와일더에 의해 개발된 지표로서 추세전환시점을 파악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풀레님은 Parabolic Stop And Reverse이며, 기존의 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붉은 점선의 포물선(Parabolic) 형태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따라서 파라볼릭 지표상의 전환은 기존 추세의 가속력이 약해져 새로운 추세 전환이 임박했음을 뜻 합니다. ​ 파라볼릭 지표는 시장가격이 추세를 형성하고 움직일 때 추세 진행의 가속력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주가와 환율의 추세가 일단 형성될 경우 기존 흐름이 강하..
[선물옵션 보조지표] 방향운동지수 DMI 보조지표 알아보기 오늘 하루도 즐거운 시간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DMI(Directional Movement Index) 보조지표란 ? ​ DMI (Directional Movement Index)는 1978년 웰레스 와일더(J. Welles Wilder)에 의해서 처음 소개된 것으로, 시장의 방향성과 추세의 강도를 수치로 나타낸 지표를 말합니다. ​ 보조지표 관련 포스팅에는 차트를 분석할 때 현재의 추세가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또는 횡보장인지를 구분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또한 상승추세 또는 하락추세일 경우에도 그 추세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한다면 매우 성공률이 높은 매매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시장의 추세 및 그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계량화한 것이 DMI입니다. ​ DMI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