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선물인물탐구

월가에 살아있는 전설 하워드 막스 이야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SAFE ON 입니다.

언제나 여러분의 안전한 해외선물 거래를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먹튀 불량 대여업체가 사라지는 그 날까지!!

대여업체 관련 궁금한점이 있으시면 아래 사진을 클릭!! 문의 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인물은 현 월가에 살아있는 전설 하워드막스 이야기입니다.

하워드막스(Howard Marks)는 미국의 대표적인 가치투자자입니다.

2022년 현재 오크트리 캐피털의 설립자로서 개인 자산 22억 달러(한화 가치 약 2.5조 원)을 보유한, 포브스 미국 370위 부자이기도 합니다.

막스는 특히 미국 투자자들의 워런버핏 다음가는 선망과 존경을 받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버핏과 마찬가지로 막스는 투자자 메모(개인이 노트 형태로 적는 메모가 아닌, 회사 내부에서 업무적인 내용을 전달하는 간략화된 보고서 같은 느낌)를 외부에 공개하며 거시경제 환경과 그의 투자전략에 대한 통찰을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지어 이 메모들은 워런버핏도 1순위로 챙겨본다고 하며, 이 메모들의 내용을 엮어<투자에 대한 생각>이라는 책으로 출판하기도 하였습니다.

<투자에 대한 생각>은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으며 베스트셀러에 오르기도 하였습니다.

 

하워드 막스 인생

1946년 4월 23일 태어나 뉴욕주 퀸즈에서 자랐습니다. 그의 가족은 민족적으로 유태인이었지만 그는 기독교 신자로 자랐습니다.

그는 학부 과정을 위해 펜실베니아 대학교의와튼 스쿨에 다녔으며 그곳에서 파이카파알파(PIKE- Pi Kappa Alpha) 형제회 회원이었습니다.

1967년 금융학을 전공하고 일본학을 부전공하였으며 우등생으로 졸업하였습니다.

1969년 23세의 나이로 시카고 대학교 부스 경영대학원에서 회계 및 마케팅 경영학 MBA과정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또한 1975년 CFA과정을 수료하였습니다.

막스는 1969년부터 1978년까지 시티은행에서 주식 리서치 애널리시트로 커리어를 시작한 뒤, 리서치 부서장으로 승진하게 됩니다.

1975년부터 1985년까지는 시티은행에서 그는 시니어 포트폴리오 매니저로 계속 일하며 시티은행의 고위험채권 (하이일드 채권) 투자를 관리하게 됩니다. 그리고 시티은행을 나와 TCW 그룹에 들어간 막스는 TCW의 하이일드 / 전환사채 채권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게 됩니다.

1988년 그는 동료 브루스 카쉬와 함께 주요 기관투자자 최초로 TCW의 부실채권 펀드를 시작합니다.

때가 되었다고 느낀 막스는 1995년 파트너 4명과 함께 TCW를 퇴사하고 오크트리 캐피탈을 설립하게 됩니다.

설립 이래 그는 오크트리의 엄청난 성장을 기여하여 오크트리 고위험 채권, 부실 채권, 사모펀드 사업 등의 리서치를 총괄하게 됩니다.

2010년 브룩필드 자산운용에 오크트리 지분을 62%를 넘긴 이후 현재까지도 그와 오크트리 파트너들은 나머지 지분 38%를 보유하며 오크트리의 운영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현 오크트리캐피털이 운용하는 자산 규모는 1500억 달러(약 170조원)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막스의 투자철학

막스의 투자 철학은 리스크 관리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가 손실이 날 것이 걱정이 되는지, 수익 기회를 놓치는 것이 걱정되는지 천천히 따져보라고 말하며 후자가 더 걱정될 경우 조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합니다. 무엇보다 그는 금융에서 당연하게 여기는 "고 리스크는 곧 수익률"이라는 말의 정확한 해석을 제시하는데, 그에 의하면 이 말을 듣고 "리스크를 높게 잡아 수익률을 높이자"라고 생각하는 것은 어리석다고 말합니다. 즉, 수익률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리스크에 초점을 맞춰, 일종 수준의 리스크를 받아들이면서 그 한도 내에서 수익률을 최대화 시키는, 즉 위험 조정 수익률(Risk-Adjusted Return)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고 위험 자산이기 때문에 기대수익률은 높지만, 위험 조정 수익률 개념으로 따져보면 수익률에 비해서 너무나 많은 리스크를 저야 되는 자산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철학은 막스 뿐만이 아니라, 많은 가치 투자자들이 공유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막스의 철학은 기존의 가치투자자들과 대비되는 부분이 있기도 합니다. 개별 주식/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사업 성장성 분석에 중점을 둔 워렌 버핏과는 달리, 막스는 오히려 "너무나 많은 똑똑한 사람들이 기업 분석을 하고 있다"며 이러한 방식으로는 알파를 창출하기 힘들다고 말합니다. 오히려 그에 의하면 알파를 창출할 수 있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의 최근 수익/매출/경영 지표 등의 '숫자'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
  • 투자 심리를 성공적으로 관리하는 것
  • 기업과 시장의 순환 주기 타이밍에 대한 이해

투자 타이밍을 노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그는 "마냥 좋은 기업을 사서 오래동안 들고 있는 것이 최고"라는 버핏 계열의 가치 투자자들과 구분됩니다. 또한 2021년 최근 투자자메모에서 "가치주와 성장주의 구분은 무의미하다", "수많은 정보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게 되면서 '저평가된 알짜 가치주'를 찾기가 많이 어려워졌다"고 밝히며 벤저민 그레이엄 계열의 전통적 "담배꽁초" 가치 투자 전략과도 구분되는 점이 있습니다.

 

#하워드 #하워드막스 #월가